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공식 문서의 2번째 단원인 Basic Operators를 모두 읽고 정리한 글을 써보자

 

Apple 공식 문서 2단원 Basic Operators

Basic Operators

Operators(연산자)는 값을 확인, 변경 또는 결합하는 데 사용하는 특수 기호 또는 Phrase이다.

예를 들어 + 연산자나 && 연산자가 있다.

Swift는 C언어 연산자의 여러 코딩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기능을 향상시킨 연산자를 지원한다.

= 연산자는 값을 반환하지 않는데 이는 == 연산자와의 혼동에 의해 실수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산술 연산자(+,-,*,/)는 값 오버플로를 감지하고 오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허용된 값보다 크거나 작은 숫자를 사용할 수 없게 도와준다.

Swift는 C에서는 찾을 수 없는 ..<, ... 와 같은 범위 연산자를 제공한다.

이번 글에서는 Swift의 일반 연산자에 대해 설명한다.

나중에 있을 Advanced Operators 단원에서는 사용자 정의 연산자를 정의하고 표준 연산자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Terminology

연산자는 unary(단항), binary(이항), 또는 ternary(삼항)이다.

unary 연산자는 한 개의 대상이 있는 연산자이다(예 -1). Unray prefix 연산자는 대상 앞에 바로 나타나고 (예 !a) Unray postfix 연산자는 대상 뒤에 바로 나타난다.(예 a!)

Binary 연산자는 두 개의 대상이 있는 연산자이다 (예 2+3). 두 대상 사이에 위치가 고정된다.

Ternary 연산자는 세 개의 대상이 있는 연산자이다. Swift에는 c언어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삼항 연산자가 있다.

a ? b : c 라고 쓰이는 조건 연산자만이 유일한 삼항 연산자이다.

연산자가 영향을 주는 값은 operands(피연산자)이다. 1 + 2에서 +는 연산자이고 1,2는 피연산자이다.

Assignment Operator

Assignment Operator는 대입 연산자로 아래와 같이 쓰인다.

let b \= 10 
var a \= 5 
a \= b 
// a is now equal to 10

a 값을 b 값으로 초기화하거나 업데이트한다.

let (x, y) \= (1, 2) 
// x is equal to 1, and y is equal to 2

만약 우변에 여러 값을 가진 튜플인 경우 해당 원소를 위의 코드와 같이 한 번에 여러 상수 또는 변수로 분해할 수 있다.

C, Objective-C의 대입 연산자와 달리 Swift의 대입 연산자는 값을 반환하지 않는다.


ArithmeticOperators

Arithmetic Operators는 산술 연산자로 모든 숫자 유형에 대해 4가지 표준 산술 연산자를 지원한다.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C언어와 Objective-C의 산술 연산자와 달리 Swift의 산술 연산자는 값 오버플로를 허용하지 않는데, 오버플로 연산자를 사용하면 오버플로가 발생했을 때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나중에 Advanced Operator 단원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덧셈 연산자는 String 자료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hello" + "world" 
// equals "hello world"

Remainder Operator

remainder Operator는 나머지 연산자로 a % b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결과로 반환한다.

나머지가 나오게 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a = (b * 곱해질 값) + 나머지

여기서 곱해질 값은 a를 b로 나눈 몫이 된다.

즉 만약 a = 9, b = 4라면 곱해질 값은 2, 나머지는 1이 된다. ( 9 = ( 4 * 2) + 1 )

음수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a = -9, b = 4라면 -9 = (4 * -2) + ( -1) 이 되기 때문에 나머지는 -1이 된다.

계산 시 b의 부호는 무시되기 때문에 a % b나 a % -b의 결과는 같다.

Unary Minus Operator

Unary Minus Operator는 숫자 앞에 붙어 바로 해당 숫자에 -1을 곱해준다고 볼 수 있다.

let three = 3
let minusThree = -three       // minusThree equals -3
let plusThree = -minusThree   // plusThree equals 3, or "minus minus three"

Unary Plus Operator

Unary Plus Operator는 숫자 앞에 붙어 해당 숫자에 +1을 곱해준다고 볼 수 있다.

let minusSix = -6
let alsoMinusSix = +minusSix  // alsoMinusSix equals -6

Compound Assignment Operators

C언어와 마찬가지로 Swift에서도 Compound Assignment Operators (복합 할당 연산자)를 제공한다. +=와 같은 연산자가 이에 해당된다.

var a = 1
a += 2
// a is now equal to 3

a += 2는 a = a + 2의 줄임말이다.


Comparison Operators

Comparison Operators는 비교 연산자로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 !=, > , < , >=, <=

Swift 연산자에는 ===, !==도 있는데 이는 두 객체 참조가 모두 동일한 객체 인스턴스를 참조하는지를 알려준다. 다시 돌아와서 어쨌든 비교연산자는 bool 값을 반환한다.

그렇기 때문에 if 문과 같은 조건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타입, 동일한 개수를 가진 튜플 형식을 비교할 수도 있는데 튜플을 비교할 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값씩 비교하게 된다. 어떤 값이라도 바로 비교가 되면 그 결과가 비교 결과가 된다. 예를 보면 이해가 쉽다.

(1, "zebra") < (2, "apple")   // true because 1 is less than 2; "zebra" and "apple" are not compared
(3, "apple") < (3, "bird")    // true because 3 is equal to 3, and "apple" is less than "bird"
(4, "dog") == (4, "dog")      // true because 4 is equal to 4, and "dog" is equal to "dog"
("blue", -1) < ("purple", 1)        // OK, evaluates to true
("blue", false) < ("purple", true)  // Error because < can't compare Boolean values

즉 (1, "zebra") < (2, "apple")에서 왼쪽부터 보기 때문에 1, 2를 비교하게 되는데 여기서 2가 더 크기 때문에 바로 true가 반환된다는 것이다. 만약 동일하면 오른쪽의 원소를 가지고 비교를 하게 된다. Bool 값은 대소 비교가 안되는데 여기서 ("blue", false) < ("purple", true)를 실행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

즉 튜플의 원소들이 모두 비교 연산자를 수행할 수 있는 값이 있을 때에 튜플에 비교 연산자를 적용할 수 있다.


Ternary Conditional Operator

Ternary Conditional Operator는 삼항 조건 연산자로 아까 말했듯 딱 한 가지 연산자만 존재한다.

question ? answer1 : answer2의 형태로 사용되며 question이 참이면 answer1이 거짓이면 answer2가 반환된다. 즉 아래 코드의 결과와 같다고 볼 수 있다.

if question {
    answer1
} else {
    answer2
}
let contentHeight = 40
let hasHeader = true
let rowHeight = contentHeight + (hasHeader ? 50 : 20)
// rowHeight is equal to 90

직접 사용한 코드를 보게 되면 이해가 쉽다. hasHeader ? 50: 20이라는 연산을 수행하면 되는데 이때 hasHeader가 true이므로 50이 반환되어 rowHeight에는 90이 저장된다.


Nil-Coalescing Operator

nil-coalescing operator는 a ?? b와 같은 연산자로 옵셔널을 분석할 때 사용한다.

옵셔널 a 변수가 있고 a ?? b가 있다면 만약 a가 nil 이면 b를 반환하고 a에 값이 있으면 a를 반환한다.

이때 a는 반드시 옵셔널 타입이어야 한다.

이를 풀어쓰면 아래와 같은 코드로 나타낼 수 있다.

a != nil ? a! : b

예를 들어 보면 아래와 같다.

let defaultColorName = "red"
var userDefinedColorName: String?   // defaults to nil

var colorNameToUse = userDefinedColorName ?? defaultColorName
// userDefinedColorName is nil, so colorNameToUse is set to the default of "red"

var colorNameToUse = userDefinedColorName ?? defaultColorName에서 userDefinedColorName 값은 nil이기 때문에 defaultColorName의 값인 "red"가 colorNameToUse에 저장된다.


Range Operators

Swift는 값의 범위를 쉽게 나타낼 수 있는 range operator를 제공한다.

Closed Range Operator

closed Range Operator는 a...b와 같이 사용되는 것으로 a와 b 사이의 값을 포함하는데 이때 a의 값이 b보다 크면 안 된다. 이러한 연산자는 for-in 루프와 같이 모든 값을 사용할 때 유용하다.

for index in 1...5 {
    print("\(index) times 5 is \(index * 5)")
}
// 1 times 5 is 5
// 2 times 5 is 10
// 3 times 5 is 15
// 4 times 5 is 20
// 5 times 5 is 25

Half-Open Range Operator

Half Open Range Operator는 a..<b와 같이 사용된다. a 와 b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데 b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a, a+1, ... b-1까지만 포함하는 범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산자는 배열과 같은 zero-based list를 사용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let names = ["Anna", "Alex", "Brian", "Jack"]
let count = names.count
for i in 0..<count {
    print("Person \(i + 1) is called \(names[i])")
}
// Person 1 is called Anna
// Person 2 is called Alex
// Person 3 is called Brian
// Person 4 is called Jack

One-Sided Ranges

한 방향으로만 커지거나 작아지는 개념으로 사용 예를 보면 쉽게 이해 가능하다.

for name in names[2...] {
    print(name)
}
// Brian
// Jack

for name in names[...2] {
    print(name)
}
// Anna
// Alex
// Brian

위와 같이 2... 은 2번째 인덱스 이후의 값들에 모두 접근하고 ...2는 2번째 인덱스까지의 값들에 모두 접근한다.

이는 아까의 half-open range operator와 함께 사용도 가능하다.

for name in names[..<2] {
    print(name)
}
// Anna
// Alex

One-sided ranges는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반복이 어디에서 시작해야 하는지 혹은 끝나는지에 대한 부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명시적인 종료 조건을 추가해야 한다.

let range = ...5
range.contains(7)   // false
range.contains(4)   // true
range.contains(-1)  // true

위의 코드와 같이 값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Logical Operators

Logical Operators는 논리연산자로 Bool 타입을 반환한다.

Swift는 오로지 세 개의 논리연산자만 제공한다.

Logical NOT (!a)

Logical AND (a && b)

Logical OR (a || b)

Logical NOT Operator

!a 와 같이 쓰이며 true는 false로 false는 true로 바꾸어준다.

이는 접두사 연산자로 피연산자 바로 앞에 붙는다.

let allowedEntry = false
if !allowedEntry {
    print("ACCESS DENIED")
}
// Prints "ACCESS DENIED"

Logical AND Operator

a && b와 같이 쓰이며 a, b 모두 true 일 때만 true를 반환한다.

하나라도 false 이면 false가 반환된다.

let enteredDoorCode = true
let passedRetinaScan = false
if enteredDoorCode && passedRetinaScan {
    print("Welcome!")
} else {
    print("ACCESS DENIED")
}
// Prints "ACCESS DENIED"

Logical OR Operator

a || b 와 같이 쓰이며 둘 중 하나라도 true라면 true를 반환한다.

만약 a가 참이면 b는 확인하지 않고 바로 true를 반환한다.

let hasDoorKey = false
let knowsOverridePassword = true
if hasDoorKey || knowsOverridePassword {
    print("Welcome!")
} else {
    print("ACCESS DENIED")
}
// Prints "Welcome!"

Combining Logical Operators

개발자는 위의 여러 논리 연산자를 조합해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if enteredDoorCode && passedRetinaScan || hasDoorKey || knowsOverridePassword {
    print("Welcome!")
} else {
    print("ACCESS DENIED")
}
// Prints "Welcome!"

여러 && , || 를 사용해서 복합 표현식을 작성했다.

이렇게 여러 개로 작성해도 논리 연산자는 두 개씩 보기 때문에 크게는 3개의 식이 합쳐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enteredDoorCode && passedRetinaScan의 값은 false가 나오고 false || hasDoorKey도 false가 나오게 되는데 결국 false || knowOverridePassword를 연산하게 되면 true가 나와서 Welcome! 이 출력되게 된다.

즉 Swift는 왼쪽에 있는 하위 표현식을 먼저 연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xplicit Parentheses

Explicit Parentheses는 명시적 괄호라고 해석되며 복잡한 식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위의 코드를 괄호를 넣어 다시 코드를 짜면 아래와 같다.

if (enteredDoorCode && passedRetinaScan) || hasDoorKey || knowsOverridePassword {
    print("Welcome!")
} else {
    print("ACCESS DENIED")
}
// Prints "Welcome!"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